PART2전기자기 회로
실험 2 :자기장(Magnet Field)
이론
자기장 [magnetic field]
자계·자장이라고도 한다. 그 안에 놓은 다른 자극에 힘을 미칠 뿐만 아니라 그 곳을 지나는 전류에도 힘을 미치며, 반대로 자기장 안에서 도체를 움직이면 도체 내에 기전력이 유발된다.
즉, 자극이나 전류에 의해 특수한 성질이 주어지는 공간이다. 전류와 자기장의 이와 같은 상호작용은 전기현상과 자기현상의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동기나 발전기를 비롯하여 많은 전기기기에 널리 이용된다.
자기장의 특징은 자기장 내의 각각의 점이 잠재적으로 지니고 있는 자기력의 세기이다. 이것을 자기장의 세기(줄여서 자기장이라고도 한다)라고 하며, 단위인 양자하를 자기장 내의 한 점에 놓았을 때 이것이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을 그 점에서의 자기장의 세기로 정한다.
그 단위는 자하의 단위를 CGS 전자기 단위로 할 때 에르스텟(기호 Oe)을 사용한다. 즉, 1CGS 전자기 단위인 양자하에 대하여 1dyne의 힘이 미치는 경우에 그 점의 자기장의 세기를 1Oe이라 한다. 이 밖에 전류의 자기작용에 의해서 정해지는 암페어횟수/미터(AT/m)라는 단위도 있다.
실험 과정
1. M02 보드의 block a를 이용하여 그림 2-17와 같이 결선한다.
2. DC 전원공급기의 전원을 5V로 연결한다.
3. SW를 ON하였을 때 LED가 점등 및 릴레이의 동작을 확인하고 표 2-2 해당란에 기록한다.
4. SW를 OFF하였을 때 LED가 점등 및 릴레이의 동작을 확인하고 표 2-2 해당란에 기록한다.
5. 접점 3번과 4번을 연결하고 자석을 REED 스위치 근처에 접근할 때LED가 점등 및 릴레이의 동작을 확인하고 표 2-2 해당란에 기록한다.
6. 5번 방법과 같이 사용할 용도를 기술한다.
tab1실험 2-2.1
1.결선 방법
1.전원 결선
M02 보드 좌측에 Fixed Power +5V 단자와 Block a의 V+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연결한다.
접지(-)는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2.결선도
3.측정방법
- 1결선도와 같이 연결하였을 때 릴레이 동작여부와 LED 점등여부를 확인하고 표 2-2 해당란에 기록한다.
- 2접점 3번 좌측단자와 Relay Coil 위 단자 간을 황색선으로 연결한 후, 릴레이 동작여부와 LED 점등여부를 확인하고 표 2-2 해당란에 기록한다.
- 3접점 3번 좌측단자와 접점 2번 우측단자 간을 황색선으로 연결한 후, 릴레이 동작여부와 LED 점등여부를 확인하고 표 2-2 해당란에 기록한다.
- 4접점 3번 좌측단자와 접점 2번 우측단자 간을 황색선으로 연결한 후, REED SW에 자석을 근접시켰을 때 릴레이 동작여부와 LED 점등여부를 확인하고 표 2-2 해당란에 기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