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oll top gotop scroll bottom

PART1R, L, C 회로

실험 19 :병렬 공진회로

이론

그림 1-31 (a)와 같이 R, L, C소자를 병렬로 연결되었을 때 이들의 교류 합성저항 즉, 임피던스 Z의 크기와 위상은 다음과 같이 된다.

임피던스 :
 Z = R + j( omega L - 1 over omegaC )

크기 :
 vert Z vert  = sqrt {R^2 + ( omegaL - 1 over omegaC )^2}

위상 :
   theta  = tan^-1 {{( omegaL - 1 over omegaC )} over R}

L-C 병렬회로에서 ω0C = 1/ ω0L가 되는 주파수에서 임피던스 Z가 순저항성분만 가지며 이때의 주파수가 공진주파수가 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각주파수 ω0 = 1/ LC이 되며, 이 ω0를 공진각주파수라 하고, 공진주파수 f0는 f0 = 1/ 2π LC 이다. 병렬공진회로에서의 Q(quality factor)는 직렬공진회로와 마찬가지로 Q = f0 / (f2 - f1)로 정의되고 Q = ω0CR = R10L)로 표현된다. 즉 Q는 R에 비례한다. 그림 1-31 (b)는 병렬공진회로에서의 공진주파수와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보여주고 있다.

실험 과정

1. M01의 Block j에서 Function Generator와 오실로스코프나 교류 전압계를 그림 1-32 (a)와 같이 연결한다.

2. Function Generator의 사인파 출력을 20VP-P로 하여 2kHz에서 10kHz까지 200Hz 간격으로 주파수를 변화시키면서 출력전압 V를 표 1-19에 기록한다.

0dB가 되는 주파수(공진주파수)를 및 -3dB, -6dB가 되는 주파수를 찾아서 해당란에 기록한다.

3. R15저항을 단락시키고, R14에 걸리는 전압값을 측정하여 표 1-19 해당란에 기록한다.

tab1

실험 1-19.1 RLC 병렬공진회로 (그림 1-32와 같이 구성)

1.결선 방법
1.함수 발생기 결선

전면 패널 Signal Output의 A+ 단자와 block j의 SW3 좌측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A- 단자와 C5 좌측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2.계측기(전압계) 결선

V1 측정 : 전면 패널에 Signal input CH A의 A+ 단자와 block j의 R15 아래 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A- 단자와 R15 위 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V2 측정 : 전면 패널에 Signal input CH B의 B+ 단자와 block j의 R14 우측단자 간을 적색선으로 연결하고, B- 단자와 R14 좌측단자 간을 흑색선으로 연결한다.

2.결선도
flash

Get Adobe Flash player

3.측정방법
  1. 1Touch LCD 패널 좌측 메뉴에서 analog output을 선택한다.

    Function Generator창의 Amplitude를 20vpp로 설정하고, Frequency 를 100, 그리고 Signal을 sine로 선택한 후 button_arrow을 클릭하여 2kHz로 설정한다. on 을 클릭하여 2kHz 20Vp-p를 출력한다.

    FunctionGenerator

  2. 2전면 패널 좌측 메뉴에서 analog input을 선택한다.

    Volt & Ampere Meter를 선택하고, CH A와 CH B에서 각각 voltage, pp, ac를 선택하면 측정값이 표시된다. 표 1-19의 해당 주파수 란에 기록한다. CH A는 V1(R15 양단의 전압), CH B는 V2(R14 양단의 전압이다.

    VoltAndAmpereMeter

    R15저항을 단락시키고, R14에 걸리는 전압값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VoltAndAmpereMeter

  3. 3주파수를 표 1-19 같이 변화하면서 측정하여 해당란에 기록한다.

    Touch LCD 패널 좌측 메뉴 하단에서 quick launch을 선택하고, Analog Output를 클릭한다.

    AnalogOutput Function

    Frequency 100Hz 우측에 arrow right을 클릭하여 주파수를 200Hz 씩 증가시키고, Volt & Ampere Meter의 CH A와 CH B에서 표시된 측정값을 표 1-19의 해당 주파수 란에 기록한다.

    VoltAndAmpereMeter

    R15저항을 단락시키고, R14에 걸리는 전압값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VoltAndAmpereMeter

  4. 4측정이 끝나면 on red2을 클릭하여 함수발생기의 출력을 차단한다.
print

실험 결과 보고서

result
병렬 공진회로
1. 실험 결과표

표 1-19

result_table
V | F 2㎑2.2㎑2.4㎑2.6㎑2.8㎑ 3.0㎑3.2㎑3.4㎑3.6㎑3.8㎑
V1
V2
V2’
V | F 4.0㎑4.2㎑4.4㎑4.6㎑4.8㎑ 5.0㎑5.2㎑5.4㎑5.6㎑5.8㎑
V1
V2
V2’
V | F 6.0㎑6.2㎑6.4㎑6.6㎑6.8㎑ 7.0㎑7.2㎑7.4㎑7.6㎑7.8㎑
V1
V2
V2’
V | F 8.0㎑8.2㎑8.4㎑8.6㎑8.8㎑ 9.0㎑9.2㎑9.4㎑9.6㎑9.8㎑
V1
V2
V2’

※ V2’는 R15를 단락했을 때 V2 전압

2. 검토 및 정리
1) 표 1-19을 이용하여 공진주파수를 구하고, 아래 그래프를 작성하고 공진주파수와 비교하시오.

section paper

result_table
Level-f ← 0 → +fBW
(3㏈)
-6㏈-3㏈0㏈-3㏈-6㏈
주파수
2) R-L-C 병렬 공진회로에서 공진 시의 전류가 최소가 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3. 실험 결과에 대해 토의한다.